2020년 인천시 치과의사회 학술대회
Panoramic radiograph beyond teeth and alveolus - 서울대 허경회 교수
radiolucency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히 어두워 보이는 부분만 찾는게 아니라,
부가적으로 인접해있는 흰색 선(corticated line)의 소실을 확인한다.
- 인접치 lamina dura,
- 맹출중인 구치 치배 주위,
구치 치배 주위로 염증 이환시 흰색 선이 덜 선명하고(change of follicular cortext)
주위 bone의 sclerotic change.
- pathologic change가 진행될수록 이 둘의 손실이 더 명확해짐
follicular space가 확장된 경우 cystic change가 일어나는 것..
- 상악동 벽
* 정상 구조물에 의해 만들어지는 corticated line
nasal floor
maxillary sinus floor, medial wall
lamina dura of teeth
mandibular notch (sigmoid notch)
개원가 pano는 image processing이 과하게 되면 보여야 할 것도 잘 안보인다.
burnout이 많이 되어도, 있어야 할 선이 사라지진 않았는지 확인하자.
특히 malignancy lesion은 경계가 잘 안보이므로 눈에 잘 안띨수 있다.
파노라마에서 연조직이 덮느냐 덮지 못하느냐에 따라 결과에서 차이(혀, 연구개 등의 불수의적 운동, 파킨슨병등으로..)
pathologic한 osteolysis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인접한 구조물의 흰색선의 소실 여부를 관찰한다.
* gas forming abscess/cellulitis
단순한 cellulitis로 붓는 것은 지저분하지 않다. 파노상 heterogeneous한 것은 연조직 속에 무엇인가 개제된 것(gas forming)..
빌치 후 사망의 대부분은 감염이 저작근막에서 위쪽으로 두개저를 지나 brain까지 염증이 파급된 경우가 대부분
환자는 붓고, 파노라마상에서 지저분, heterogeneous한 것이 보이면 - 뭐 해보려고 하지말고 바로 refer해라
*radiopaque line from bone or soft tissue structure on panoramic radiograph
파노라마 영상에서는 여러 부위에서 중첩 구조물들 사이의 burn-out 현상, 혹은 원래 낮은 골밀도로 인한 radiolucency가 관찰될 수 있음.
normal variation에 해당하는 radiolucency와 pathologic lesion과의 감별이 필요함
-> osteolytic radiolucency라면 골 소실을 일으킨 것이므로, radiopaque line의 소실이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
치근단 부위 방사선 투과상 병소, 파노라마 상에서 관찰 시 애매한데,
상악 구치부 치근단 병소는 인접한 상악동 하방 벽의 흰색선을 소실이 수반되면 병소에 대한 근거가 된다. - intraoral에서는 lamina dura 소실까지 확인 가능
상악 구치부 - sinus floor의 변화를 항상 주의깊게 관찰하자.
** 상악에서 screening해야 할 정상 해부학 구조물
수평선
- floor of Mx sinus, nasal floor(palatal cortical lining), infroorbital rim
수직선
- anteromedial wall of Mx sinus,m innominate line, posterior wall of Mx sinus
평소에 이 6개의 선을 보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sinus floor는 치성 origin에 의해 변화를 보일 수 있는데,
그 외 나머지 5개 선의 소실이 있을 때는 CT 촬영 권유, 문제시 즉시 리퍼.
상악동 점막에서 발생한 병소의 경우, 구강 내 시진에서 병적 소견이 발견되기 어려울 수 있음
-> 파노라마 영상에서 치아, 치조골 주변의 구조물들을 항상 살펴봐야 함
* 매복된 치아는 follicular cortex 의 선을 확인. cystic change 여부를 확인.
5년 전, local에서 매복치 확인, 별다른 조치 없었음.
5년 후, 증상 발현하여 대병에서 악성종양 확진, 타부위 전이로 연명치료만 가능..
5년 전에 알고 리퍼했더라면 젊은 환자분의 삶이 달라지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