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보존수복

유치 신경치료, ss crown

whatever.. 2018. 12. 22. 12:43

2018 치과계


* 유치의 신경치료가 영구치 신경 치료와 다른 점

1. 근관 확대의 개념이 없다.

확실한 발수 및 충전으로 마무리, 상부에서 중간까지만 niti 사용, 치수 제거한다는 느낌으로, 근단부 치수는 핸드 hile로 제거

2. 근관장 측정이 필요치 않다.

측정기로 정확한 측정도 불가하고 치근단 사진찍기도 힘들다

유구치 치아 길이가 대략 상/하 D번이 15~16mm, 상/하 E 번이 17~18mm 이므로 이를 고려해서 stop을 끼우고 한다.

유구치의 경우 필자는 핸드파일은 25~30번, niti 는 25번 사용하여 저항감이 느껴지지 않는 부위까지만 file 사용.

치수가 괴사되거나, bleeding이 멈추지 않는 염증성 치수인 경우 좀 더 가는 파일로 조금 더 치근단 깊게 file 넣어 치수 제거

3. GP cone 이 아닌 vitapex 주입

vitapex tip이 근관 내에 들어가는 깊이까지만 넣고 조금씩 주입하면서 뒤로 빼면 거의 치근단 길이에 맞게 잘 주입됨,

치근 이개부 상방 1mm 정도까지 덮으면 됨

 

* 펄펙토미 과정,

인접치 레진수복 먼저,

치수노출되면 교합면을 임상치관의 ½ 삭제

치수강 넓게 개방, 6번 라운드 버로 치관부 치수 제거, 퍼 올리듯이.

Niti, 전치부는 30번, 구치부는 25번 protaper 이용, 400rpm, 21torque 로 셋팅해서 들어가는데까지만 치수 제거, 근관벽을 타고 빼내는 동작으로 치수 제거

(파일 fx 시 가급적 제거, 중간에 부러지면 유치와 함께 탈락, 치근단부 파절이면 검진, 맹출시기에 맞춰 유치 발거)

20~25 핸드파일로 치근단 부위 남은 치수 를 NaOCl과 saline으로 제거, 염증성일 경우 NaOCl 추가 적용, 근관 건조

vitapex tip을 들어가는데까지 넣고, 레스트를 준 상태에서 뒤로 빼면서 주입, 치근 이개부 1mm 덮는 정도로 넣는다.

IRM을 와동에 넣고, 상방을 아말감이나 GI로 충전, SS나 크라운 수복.



* 유구치의 2급 레진 수복보다 크라운 수복을 추천하는 이유

1. 2급 레진 시술 후 수복물의 탈락이나 파절이 빈번하다

2. 시술 중에 방습 실패나 인접면 와동의 중합수축으로 인한 미세누출로 충치의 재발이 빈번히 발생한다.

3. 매트릭스 밴드, 리테이너의 사용, 적측충전, 폴리싱의 과정 등 일련의 2급 레진 수복 치료의 시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소아 환자의 행동 조절을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4. 만 3~6세와 같은 어린 나이에 발생한 인접면 충치로 인해 수복치료가 필요한 소아 환자라면 수복치료 후에도 인접면 충치 재발을 막기 위해 인접면 치태의 제거를 위해 지속적인 치실을 사용해야 하는데

2급 레진 수복 시 인접면 박스 마진이 완벽히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실 사용시 치실이 걸리거나 끊어지고 치태 조절이 어려워져서 충치의 재발이 빈번히 생겨 추후 또 다시 충치 치료를 해야 할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급적 크라운 시술을 추천한다.

5. 소아 환자의 재수복 치료 시 소아 환자의 행동 조절의 어려움 및 환자의 치료에 대한 공포를 재경험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영구치 교환시기까지 충치의 재발 방지 및 수복물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가급적 크라운 치료를 추천한다.

 

변연융선이 붕괴되지 않은 유구치는 교합면 및 인접면의 충치를 모두 치료하는 것 추천, 2급 레진 보다는 독립적인 와동으로 변연융선 유지

변연융선이 붕괴된 유구치는 신경치료 여부와 관계없이 크라운 치료 추천

 

* 소아환자의 치아 우식증의 치료 시 고려사항

1. 환자의 나이 (유구치 탈락 시기까지의 기간)

2. 현재의 충지 정도 및 동통의 여부

3. 환자의 구강 관리 상태

4. 치료 후 재치료의 가능성 최소화

5. 보호자의 치료에 대한 태도 및 인식

6. 환자의 행동 조절 가능성 및 의식하 진정요법 사용 여부

7. 치료 비용 등 여러가지 치료 외적인 부분


* 소아 환자의 수복 치료에서 반드시 크라운 시술을 해야 하는 경우

1. 유치의 신경 치료 후 최종 수복 시

2. 유치의 인접면을 포함한 충치의 2급 와동 수복 치료 시

3. 미성숙 제1대구치의 근첨 형성술 후

4. 유치나 제1대구치의 광범위한 우식의 수복 치료 시

5. 계승 영구치 없는 유치의 수복 치료 시

 

* 제1대구치의 SS 크라운 시술이 필요한 경우

1. 미성숙 제1대구치의 MTA 근첨 형성술 후 통법의 보철 수복 치료 전 임시 수복

2. 법랑질 저형성증과 같은 발육 부전이 있는 영구치의 통법의 보철 수복 치료 전 임시 수복

3. 광범위한 치아 우식이 발생되어 골드 인레이나 골드 크라운을 해야 하나 아직 완전 맹출이 되지 않은 소아 환자의 제1대구치 수복

4. 보철 치료가 아직 적합하지 않는 소아 환자의 제1대구치의 광범위한 와동의 수복으로 추후 보철 치료로 최종 수복을 하기 전의 임시 수복

 

기성 지르코니아 크라운

SS 크라운보다 두꺼워 삭제량 증가, 기계적 유지 얻을 수 없어서 시멘트 접착력만으로 유지를 얻어야 함

누스마일 크라운, 피노키즈 크라운

 

* SS 크라운 시술 과정

상악 침윤, 하악 블럭 마취 추천

개구기 장착 최대 개구

러버댐 장착 - 제2유구치에 클램프 걸고, 견치까지 구멍 뚫어서

몽둥이 버로 교합면 삭제, 엔도한건 1/2정도 안된건 1/3정도 (신경치료 한건 비타펙스와 IRM으로 충전)

몽둥이 버로 협면과 설면을 치은연 따라 taper하게 삭제, 인접면은 컨택을 유지한 채 길쭉한 타원형 형태

나이프 엣지 버로 인접면 삭제, 치은에서 교합면 쪽으로 경사되도록 버를 약간 기울여서, ledge 없도록,

인접면 삭제량은 인접치와 간격이 약 1~1.5mm 정도 되도록, 치은 하방으로도 1~1.5mm 내려서 삭제

여기까지 하면 직사각형 형태, 라인앵글을 나이프 엣지 버로 다듬는다. 치아의 협설면을 치은 하방 1~1.5mm 까지.

러버댐 클램프가 끼워지면 그 부분까지.. 벗기고 하면 좋은데 물나와서..

올바른 ss 크라운 선택은 삭제전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동일한 것,

선택에 익숙치 않으면 왁스로 미리 인기하여 선택하는 것도 도움이 됨

보통은 3,4번 크라운 선택, 러버댐 있는 상태에서 끼워봤을 때 치아 전체를 덮으면서 헐렁하지 않을 정도의 느낌

러버댐 벗기고, 크라운 번호 지우고, 대부분 비트리머 사용해서 셋팅, 셋팅 시간이 길어 잉여 시멘트 제거 여유롭다.

조금 헐렁할 경우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진 GI 시멘트 사용, 셋팅 시간 짧다.

크라운 내면의 2/3~3/4까지 시멘트 담는다.

셋팅하고 일단 꽉 누른 후, 개구기 제거하고 꽉물게 한다. 거지로 여분의 시멘트 제거하고 다시 바이트 스틱을 물게 하고,

익스플로러로 잉여 시멘트 제거,

마취 후 주의 사항, ss 크라운 탈락 가능성, 2~3일 정도 잇몸 출혈 가능성 설명.